커뮤니티

묻고답하기

지하 1,200m 암반에서 솟아나는 청정 순창 강천온천수로
가족과 함께, 연인과 함께 몸과 마음을 힐링하세요

좋은 게 좋은 거라는 민간의 지혜를 굳이 영어

페이지 정보

profile_image
작성자 전지현
댓글 0건 조회 1회 작성일 25-07-29 05:49

본문

구미개인회생 이는 정확히 1623년 발표된 셰익스피어의 유명한 희곡 「끝이 좋으면 다 좋아」의 영어 원문 제목이기도 하다. 셰익스피어의 장중한 비극들과는 달리 가벼운 소동극이다. 문학평론가들은 「끝이 좋으면 다 좋다」를 「베니스의 상인」 등과 함께 '문제적 희곡(problem play)'이라는 장르로 분류하기도 하는 모양이다. 이 문제적 희곡에서 주인공들은 모두 신념과 원칙, 대의와 윤리에서 벗어나서 가장 단순하게 자신의 이익에만 집중하는 합리적 선택들을 한다. 그리고 주인공들은 만족할 만한 '결과(ends)'들을 얻는다. 그렇다고 셰익스피어가 좋은 게 좋은 거라고 믿는 것은 아니다. 오히려 셰익스피어는 '이렇게 살아도 괜찮은 게 정말 괜찮은 것일까?'라는 '문제'를 제기한다. 영국도 꽤 오래전부터 사회를 좀먹는 '좋은 게 좋은 거 정신'에 골머리를 앓았던 모양이다. 이 희곡의 한국어 제목은 '좋은 게 좋은 거다'로 붙이는 것이 더 적절했을 것 같다..

댓글목록
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